누리호 목표 고도 700㎞ 통과하자...관제센터 직원들 눈물 ‘펑펑’

 

목표 고도 700㎞ 통과하자… 직원들 얼싸안고 펑펑.gif

 

국산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두 차례 발사가 연기되는 우여곡절 끝에 21일 드디어 우주로 날아올랐다. 최종 목표 고도인 700km를 통과하자, 발사 관제센터 관계자들은 서로 얼싸안고 자축했다.

21일 누리호 발사 후 발사 관제센터 관계자들이 서로 포옹하며 눈물 흘리는 모습/MBC 유튜브
21일 누리호 발사 후 발사 관제센터 관계자들이 서로 포옹하며 눈물 흘리는 모습/MBC 유튜브

누리호는 이날 오후 4시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이날 고도 700km 지점을 통과하자, 실시간으로 발사체를 추적하고 있는 관제센터에서는 환호성과 박수가 터져 나왔다. 관계자들은 엄지를 치켜세우고, 서로를 껴안고, 어깨를 토닥이며 자축했다. 기쁨의 눈물도 흘렸다. 일부 관계자들은 손으로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한 관계자는 헤드셋을 벗어던지고 책상에 있던 서류를 하늘 위로 던졌다. 또 다른 관계자는 휴대전화로 누리호 발사 기념 인증 사진을 촬영했다.

경축! 아무것도 안하여 에스천사게임즈가 새로운 모습으로 재오픈 하였습니다.
어린이용이며, 설치가 필요없는 브라우저 게임입니다.
https://s1004games.com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발사된 21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종합관제실에서 연구원들이 환호하고 있다. 2022.6.21/연합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발사된 21일 오후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종합관제실에서 연구원들이 환호하고 있다. 2022.6.21/연합뉴스

이날 오후 5시10분 정부는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이날 오후 4시에 발사된 누리호는 목표 궤도에 투입돼 성능검증위성을 성공적으로 분리하고 궤도에 안착시켰다”며 누리호의 발사 성공을 알렸다.

국내 독자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누리호가 상공에서 우주로 향하는 비행의 궤적을 고속 연사로 촬영된 228장으로 엮었다. [사진공동취재단]
 
국내 독자 기술로 설계 및 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21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누리호가 상공에서 우주로 향하는 비행의 궤적을 고속 연사로 촬영된 228장으로 엮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어 “대한민국은 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만든 발사체를 우주로 쏘아 올리는 7번째 나라가 됐다”며 “이제 정부는 2027년까지 네 번의 추가 발사를 통해 누리호의 기술적 신뢰도와 안전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누리호는 지난해 10월21일 첫 발사 당시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가 정상적으로 이뤄졌으나, 3단 엔진이 계획보다 일찍 꺼지면서 위성 모사체를 지구 저궤도에 안착시키는 데 실패했다.

[출처]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2/06/21/RZM5NR7E2ZHTVJ4NEQ456CEEBI/

 

본 웹사이트는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고 클릭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모두 웹사이트 서버의 유지 및 관리, 그리고 기술 콘텐츠 향상을 위해 쓰여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8 [천체물리 - 우주(과학)] 47년만의 도전 실패…러 달탐사선 루나25호 달에 추락·파괴 file 졸리운_곰 2023.08.21 67
647 [전기,전자] 꿈의 신소재 '맥신', 대량생산 길 열렸다 file 졸리운_곰 2023.08.18 83
646 [물리] 우주 설명할 표준 입자 모델 흔들리나 졸리운_곰 2023.08.18 126
645 [물리, 천체, 우주과학] 러시아 달 탐사선이 47년 만에 찍은 우주 사진 [우주로 간다] file 졸리운_곰 2023.08.16 92
644 [환경] 남극에 '에어로졸' 뿌려 온난화 예방?..."근본적 해결책 아냐" file 졸리운_곰 2023.08.15 111
643 [물리, 천체, 우주과학] '우주 원자력' 경쟁 본격 시작됐다...한국도 합류 file 졸리운_곰 2023.08.14 86
642 [환경] 美, 탄소 빨아들이는 '거대한 선풍기' 만든다 file 졸리운_곰 2023.08.13 83
641 [물리] '원자폭탄의 아버지'로 불리는 오펜하이머와 '수소폭탄' file 졸리운_곰 2023.08.12 105
640 [물리] 기본입자 '뮤온'의 일탈 재확인…흔들리는 물리학 '표준모형' file 졸리운_곰 2023.08.11 137
639 [새로운 과학 뉴스][생물] 뇌는 어디서 의식을 만들까…25년 해묵은 난제 첫 결론은 '뇌의 뒤쪽' file 졸리운_곰 2023.06.27 104
638 [새로운과학뉴스][물리] [사이언스샷]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135억년 전 은하까지 포착했다 file 졸리운_곰 2022.07.22 136
637 [새로운 과학뉴스][물리] 130억 광년 태초의 빛…제임스웹 망원경 첫 풀컬러 사진 공개 file 졸리운_곰 2022.07.13 154
» 누리호 목표 고도 700㎞ 통과하자...관제센터 직원들 눈물 ‘펑펑’ file 졸리운_곰 2022.06.21 130
635 [새로운 과학 뉴스][생물] 자손 낳는 인공생명체 세계 첫 탄생 file 졸리운_곰 2021.08.31 90
634 주간기술동향 2009호(2021.08.11 발행) file 졸리운_곰 2021.08.30 116
633 주간기술동향 2008호(2021.08.04 발행) file 졸리운_곰 2021.08.30 82
632 [새로운 과학뉴스][생물] 인체세포 뚫는 코로나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 생산과정 밝혀졌다 file 졸리운_곰 2021.08.29 104
631 주간기술동향 2007호(2021.07.28 발행) file 졸리운_곰 2021.08.26 122
630 주간기술동향 2006호(2021.07.21 발행) file 졸리운_곰 2021.08.26 97
629 주간기술동향 2005호(2021.07.14 발행) file 졸리운_곰 2021.08.26 70
대표 김성준 주소 : 경기 용인 분당수지 U타워 등록번호 : 142-07-27414
통신판매업 신고 : 제2012-용인수지-0185호 출판업 신고 : 수지구청 제 123호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 : 김성준 sjkim70@stechstar.com
대표전화 : 010-4589-2193 [fax] 02-6280-1294 COPYRIGHT(C) stechstar.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