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ficial Intelligence / MXNet]

MXNet을 이용한 Classification 문제 풀기

                                       

by Geol Choi | Jun.

 

이번 포스팅에서는 R에서 MXNet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간단한 Classification 문제를 풀어보도록 한다.

만약 R에서 MXNet 개발환경을 처음으로 구축하고자 한다면 여기를 참고하도록 한다.

 

MXNet 개발환경 설정이 모두 완료되면, MXNet 라이브러리를 로딩한다:

 

1
2
3
4
###########################################################
# load libraries
###########################################################
base::require(mxnet)
cs

 

이제 데이터를 준비해야 하는데, R에 빌트인(Built-in) 데이터인 그 유명한 iris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한다. iris 데이터는 대략 다음과 같은 피쳐(Features)들을 포함한다:

 

> utils::data("iris")
> utils::head(iris)
  Sepal.Length Sepal.Width Petal.Length Petal.Width Species
1          5.1         3.5          1.4         0.2  setosa
2          4.9         3.0          1.4         0.2  setosa
3          4.7         3.2          1.3         0.2  setosa
4          4.6         3.1          1.5         0.2  setosa
5          5.0         3.6          1.4         0.2  setosa
6          5.4         3.9          1.7         0.4  setosa

 

"Sepal.Length", "Sepal.Width", "Petal.Length", "Petal.Width", "Species" 등 모두 5개의 열(Column)로 구성된 피쳐들을 갖는데, 이 중 "Sepal.Length", "Sepal.Width", "Petal.Length", "Petal.Width"를 입력(X)으로, "Species"를 출력(Y)으로 지정한다.

 

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Species"는 "setosa", "versicolor", "virginica" 등 3개의 범주를 갖는  Nominal Data이므로 이를 숫자형으로 변환해야 하는데, 변환에 앞서 iris 데이터 컨테이너를  "IrisData"라는 이름의 변수에 저장한 후, 변환하도록 한다:

 

1
2
3
4
5
6
7
###########################################################
# prepare data
###########################################################
utils::data("iris")
IrisData <- iris
utils::head(IrisData)
IrisData$Species <- base::as.numeric(IrisData$Species) - 1
cs

 

정수로 변환한 후에는 "IrisData"의 "Species" 필드값인 "setosa", "versicolor", "virginica"는 다음과 같이 각각 1, 2, 3으로 변경되는데, 이 값에서 1을 뺀 것은 제로-인덱스로 변환하기 위함이다.

 

> IrisData$Species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1 1 1 1 1 1 1 1
 [6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12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2
 
150개의 데이터를 갖는 IrisData (사실상 iris)를 100개의 train set와 나머지 50개의 test set으로 분리하되, 랜덤으로 선택하도록 한다. 다음과 같이, 150개 중 100개의 랜덤 샘플(인덱스)를 train.ind 변수에 저장하였다:
 
1
2
3
4
5
###########################################################
# define train & test dataset
###########################################################
set.seed(2)
train.ind <- base::sample(x=1:150, size=100, replace=FALSE)
cs

 

 

IrisData의 1~4번째 열인 "Sepal.Length", "Sepal.Width", "Petal.Length", "Petal.Width"를 입력(Input)으로 정의하므로, test dataset의 입력을 다음과 같이 IrisDatatrain.ind에 저장된 인덱스의 행과 1:4번째 열을 선택하여 저장한다:

 

1
train.x <- base::data.matrix(IrisData[train.ind, 1:4])
cs

 

 

Train dataset의 출력 train.y는 입력인 trains.x과 동일한 행을 선택하지만 열은 5번째에 해당된다:

 

1
train.y <- IrisData[train.ind, 5]
cs

 

train.ind를 제외한 나머지 행으로 test dataset을 구성한다:

 

1
2
test.x <- base::data.matrix(IrisData[-train.ind, 1:4])
test.y <- IrisData[-train.ind, 5]
cs

 

함수 mxnet::mx.mlp()를 이용하여 Mutli-Layer Perceptron(MLP) 모델을 학습시키되 랜덤 초기화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 model construction by Multi-Layer Perceptron
###########################################################
mxnet::mx.set.seed(0)
model <- mxnet::mx.mlp(data = train.x,
                       label = train.y,
                       hidden_node = 5,
                       out_node = 3,
                       out_activation = "softmax",
                       activation = "tanh",
                       num.round = 50,
                       device = mx.ctx.default(),
                       array.layout = "rowmajor",
                       array.batch.size = 5,
                       learning.rate = 0.01,
                       momentum = 0.9,
                       eval.metric = mx.metric.accuracy)
cs

 

mxnet::mx.mlp()의 입력 파라미터를 모두 다 일일이 설명하는 것은 무리이며, R Studio 사용자라면 함수 이름을 검색하여 입력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또는 R-MXNet 문서(아직 문서가 많이 미흡하다)를 참고하기 바란다. 다만, 몇 가지 중요 파라미터를 언급하자면(이름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충분히 알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out_node: 출력 노드의 개수. 본 Classification 문제에서는 출력값이 0, 1, 2로 모두 3개.

  • num.round: 반복 계산 횟수. 또는 Epoch 수.

  • device: CPU 또는 GPU.

    경축! 아무것도 안하여 에스천사게임즈가 새로운 모습으로 재오픈 하였습니다.
    어린이용이며, 설치가 필요없는 브라우저 게임입니다.
    https://s1004games.com

 

이제 위의 코드를 실행시켜 모델을 학습시켜 보도록 한다:

 

Start training with 1 devices
[1] Train-accuracy=0.347368421052632
[2] Train-accuracy=0.35
[3] Train-accuracy=0.63
[4] Train-accuracy=0.67
[5] Train-accuracy=0.68
[6] Train-accuracy=0.71
[7] Train-accuracy=0.75
[8] Train-accuracy=0.86
[9] Train-accuracy=0.89
[10] Train-accuracy=0.88
[11] Train-accuracy=0.89
[12] Train-accuracy=0.92
[13] Train-accuracy=0.97
[14] Train-accuracy=0.97
[15] Train-accuracy=0.97
[16] Train-accuracy=0.97
[17] Train-accuracy=0.97
[18] Train-accuracy=0.97
[19] Train-accuracy=0.97
[20] Train-accuracy=0.97
[21] Train-accuracy=0.97
[22] Train-accuracy=0.97
[23] Train-accuracy=0.97
[24] Train-accuracy=0.97
[25] Train-accuracy=0.97
[26] Train-accuracy=0.97
[27] Train-accuracy=0.97
[28] Train-accuracy=0.97
[29] Train-accuracy=0.97
[30] Train-accuracy=0.97
[31] Train-accuracy=0.97
[32] Train-accuracy=0.97
[33] Train-accuracy=0.97
[34] Train-accuracy=0.97
[35] Train-accuracy=0.97
[36] Train-accuracy=0.98
[37] Train-accuracy=0.98
[38] Train-accuracy=0.98
[39] Train-accuracy=0.98
[40] Train-accuracy=0.98
[41] Train-accuracy=0.98
[42] Train-accuracy=0.98
[43] Train-accuracy=0.98
[44] Train-accuracy=0.98
[45] Train-accuracy=0.98
[46] Train-accuracy=0.98
[47] Train-accuracy=0.98
[48] Train-accuracy=0.98
[49] Train-accuracy=0.97
[50] Train-accuracy=0.97

 

97% 학습 정확도의 결과를 얻었다.

 

MXNet의 장점 중 하나는 TensorFlow의 TensorBoard와 유사하게 네트워크를 시각화해 주는 기능이 있다:

 

1
2
3
4
###########################################################
# visualze network
###########################################################
mxnet::graph.viz(model$symbol)
cs

 

 

 

 

다만, 그래프가 썩 예뻐보이지는 않는 것 같다. 어쨌든 컨텍스트만 이해할 수 있으면 충분할 것 같다.

 

마지막으로 계산으로 얻은 모델을 평가해 보도록 한다:

 

1
2
3
4
###########################################################
# model validation with test dataset
###########################################################
preds <- stats::predict(model, test.x, array.layout = "rowmajor")
cs

 

위의 코드에서 stats::predict() 함수를 통해 얻은 preds는 test dataset의 각 Score를 의미한다. 즉, 각각의 열은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0(setosa), 1(versicolor), 2(virginica)의 Score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 preds
             [,1]         [,2]         [,3]         [,4]         [,5]         [,6]         [,7]         [,8]         [,9]
[1,] 9.935761e-01 9.933755e-01 9.935236e-01 9.911000e-01 9.927827e-01 9.950120e-01 9.916157e-01 9.922737e-01 9.945858e-01
[2,] 6.418932e-03 6.619421e-03 6.471368e-03 8.893428e-03 7.211749e-03 4.984017e-03 8.378012e-03 7.720454e-03 5.409957e-03
[3,] 4.975651e-06 5.120336e-06 4.997034e-06 6.643984e-06 5.504070e-06 3.906533e-06 6.277127e-06 5.845937e-06 4.232460e-06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9.936086e-01 0.9848120213 9.933048e-01 9.921175e-01 9.929829e-01 9.943505e-01 0.007417649 0.005416418 0.004244234
[2,] 6.386424e-03 0.0151775675 6.690053e-03 7.876604e-03 7.011825e-03 5.645154e-03 0.992250979 0.993507862 0.987540007
[3,] 4.935561e-06 0.0000104796 5.173965e-06 5.930814e-06 5.385812e-06 4.404085e-06 0.000331274 0.001075732 0.008215859
           [,19]       [,20]        [,21]        [,22]      [,23]       [,24]        [,25]       [,26]        [,27]
[1,] 0.004785218 0.006385177 0.0082242331 0.0082849180 0.00214893 0.002671337 0.0087469993 0.004938253 0.0087838909
[2,] 0.992688835 0.991604149 0.9914662838 0.9913083911 0.87912756 0.941698074 0.9908814430 0.993299246 0.9907998443
[3,] 0.002525974 0.002010735 0.0003093819 0.0004067142 0.11872354 0.055630598 0.0003716509 0.001762437 0.0004162203
            [,28]       [,29]       [,30]        [,31]        [,32]        [,33]        [,34]        [,35]        [,36]
[1,] 0.0063713072 0.005258560 0.005294404 0.0072387410 0.0067940969 7.251625e-05 9.680467e-05 2.162374e-05 6.602941e-05
[2,] 0.9927304387 0.991775155 0.992246509 0.9922373891 0.9923233986 6.566226e-02 8.319482e-02 2.342504e-02 6.057485e-02
[3,] 0.0008981919 0.002966302 0.002459001 0.0005238768 0.0008825203 9.342653e-01 9.167084e-01 9.765534e-01 9.393591e-01
           [,37]        [,38]        [,39]        [,40]        [,41]       [,42]        [,43]        [,44]        [,45]
[1,] 0.001863288 0.0001342284 3.276289e-05 9.685445e-06 1.753258e-05 0.001171929 0.0002190276 2.950236e-05 2.314545e-05
[2,] 0.831283808 0.1092996225 3.239850e-02 1.175829e-02 1.957790e-02 0.621040285 0.1666817814 3.008866e-02 2.443355e-02
[3,] 0.166852891 0.8905661702 9.675688e-01 9.882321e-01 9.804046e-01 0.377787739 0.8330992460 9.698818e-01 9.755433e-01
           [,46]       [,47]        [,48]        [,49]        [,50]
[1,] 0.002078916 0.002111664 0.0002431867 0.0006765017 0.0005830525
[2,] 0.878279388 0.870933473 0.1797741354 0.4148673117 0.3647069931
[3,] 0.119641662 0.126954898 0.8199826479 0.5844562650 0.6347098947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라벨(Label)은 각각 열(Column)에서 최대값을 갖는 행(Row)의 인덱스를 얻으면 된다:

 

1
pred.label <- base::max.col(base::t(preds)) - 1
cs

 

그리고 base::table() 함수를 이용하여 pred.label와 test.y를 비교하는 테이블을 출력해 보면,

 

1
base::print(base::table(pred.label, test.y))
cs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을 확인할 수 있다:

 

> base::print(base::table(pred.label, test.y))
          test.y
pred.label  0  1  2
         0 15  0  0
         1  0 17  4
         2  0  0 14

 

Dataset이 너무나도 훌륭해서 그런지 예측 데이터(pred.label)가 실제 테스테 데이터(test.y)를 단 하나도 잘못 판단한 것이 없다 (옵션을 적당히 조절하면 정확도를 임의로 낮출 수도 있다).

 

한편, 변수 model은 Weights와 Biases 정보를 가지고 있다:

 

> model
$symbol
C++ object <0000000013bd27d0> of class 'MXSymbol' <00000000137f2a30>

$arg.params
$arg.params$fullyconnected32_weight
           [,1]       [,2]       [,3]       [,4]       [,5]
[1,] -0.5822342  0.1539952 -0.6584291  0.2161309  0.6591061
[2,] -0.9130311  0.4267913 -1.0125560  0.7703336  1.0504905
[3,]  1.0153695 -0.6274304  1.1278919 -1.2413483 -1.1523126
[4,]  1.0816779 -0.4050416  1.2042744 -0.5874040 -1.2058102

$arg.params$fullyconnected32_bias
[1] -0.5192163  0.1093897 -0.5846227  0.1274193  0.5859299

$arg.params$fullyconnected33_weight
           [,1]       [,2]       [,3]
[1,] -0.8814825 -0.5732985  1.4416800
[2,]  1.0791504 -0.3596519 -0.7267237
[3,] -0.9087289 -0.6849672  1.5978891
[4,]  2.1900928 -1.6756068 -0.5267907
[5,]  1.0792551  0.6406125 -1.7158098

$arg.params$fullyconnected33_bias
[1] -0.1424098  0.7154709 -0.5730608


$aux.params
list()

attr(,"class")
[1] "MXFeedForwardModel"

 

네트워크의 각 Connection의 Weights와 Biases 값을 알고 있으므로, 직접 이 값들을 이용하여 Score 값을 계산해 볼 수도 있다.

 

아직 MXNet 사용법을 알아가는 중이라 설명이 많이 미흡하다. R-MXNet의 도큐먼트를 수시로 확인하는대로 추후에 설명을 좀 더 보강할 수 있도록 하겠다.

 

 

본 웹사이트는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고 클릭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모두 웹사이트 서버의 유지 및 관리, 그리고 기술 콘텐츠 향상을 위해 쓰여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5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VBA Web Scraping: How Can VBA Be Used To Scrape Website Data? file 졸리운_곰 2024.04.13 3
1194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윈도우 실행파일 구조(PE파일) file 졸리운_곰 2024.03.31 3
1193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Analysis] PE(Portable Executable) 파일 포맷 공부 file 졸리운_곰 2024.03.31 3
1192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성공하는 메타버스의 3가지 조건 file 졸리운_곰 2024.03.30 7
1191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REST, REST API, RESTful 과 HATEOAS file 졸리운_곰 2024.03.10 9
1190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렌더링 삼형제 CSR, SSR, SSG 이해하기 file 졸리운_곰 2024.03.10 2
1189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엑셀 VBA에서 셀레니움 사용을 위한 Selenium Basic 설치 file 졸리운_곰 2024.02.23 11
1188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500 Lines or Less Blockcode: A Visual Programming Toolkit : 500줄 이하의 블록코드: 시각적 프로그래밍 툴킷 졸리운_곰 2024.02.12 4
1187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구글 클라이언트(앱) 아이디를 발급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졸리운_곰 2024.01.28 3
1186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빅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오픈하기 위한 팁 졸리운_곰 2023.12.27 16
1185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빅뱅 전환보다 단계적 전환 방식이 이상적 애자일팀과 협업 쉽게 체질 개선을” file 졸리운_곰 2023.12.27 12
1184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Big-bang / phased 접근 file 졸리운_곰 2023.12.27 3
1183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CodeDragon 메뉴 데이터 전환의 개념 이해 - 데이터 전환의 개념, 데이터 전환방식, 데이터 전환방식 및 장단점 비교, 데이터전환 이후 검토해야 할 사항 졸리운_곰 2023.12.27 5
1182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블록체인과 IPFS를 이용한 안전한 데이터 공유 플랫폼 - 분쟁 해결 시스템 file 졸리운_곰 2023.12.27 6
1181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블록체인과 IPFS를 이용한 안전한 데이터 공유 플랫폼 - 개념과 리뷰 시스템 file 졸리운_곰 2023.12.27 4
1180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소켓 CLOSE_WAIT 발생 현상 및 처리 방안 file 졸리운_곰 2023.12.03 7
1179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robots 설정하기 졸리운_곰 2023.12.03 3
1178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A Tutorial and Elementary Trajectory Model for the Differential Steering System of Robot Wheel Actuators : 로봇 휠 액츄에이터의 차동 조향 시스템에 대한 튜토리얼 및 기본 궤적 모델 file 졸리운_곰 2023.11.29 6
1177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Streamline Your MLOps Journey with CodeProject.AI Server : CodeProject.AI 서버로 MLOps 여정을 간소화하세요 file 졸리운_곰 2023.11.25 2
1176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Comparing Self-Hosted AI Servers: A Guide for Developers / : 자체 호스팅 AI 서버 비교: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file 졸리운_곰 2023.11.25 10
대표 김성준 주소 : 경기 용인 분당수지 U타워 등록번호 : 142-07-27414
통신판매업 신고 : 제2012-용인수지-0185호 출판업 신고 : 수지구청 제 123호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 : 김성준 sjkim70@stechstar.com
대표전화 : 010-4589-2193 [fax] 02-6280-1294 COPYRIGHT(C) stechstar.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