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XNet을 활용한 이미지 분류 앱 개발하기

 

최근 딥러닝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하는 앱을 시연해야하는 일이 생겼다. 주요한 요건은 기기-서버 사이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네트워크가 없는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모바일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 학습된 모델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한 결과를 전달하는 API 방식은 사용할 수 없다. 대신 서버에서 학습한 모델을 모바일 기기에 임베딩하고, 예측(predic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기기 내에서 분류하는 형태의 개발이 필요하다.

텐서플로우는 모바일을 지원하며, 토치 또한 모바일 버전을 지원한다. 그리고 MXNet도 모바일을 지원한다. 이 중에서 MXNet을 선택했는데, 무엇보다도 빌드 과정이 가장 단순해 보였기 때문이며, 이번 기회에 아마존이 선택한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배워보고 싶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는 MXNet을 살펴보고, MXNet을 이용하여 MNIST 분류기를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MXNet 프레임워크를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빌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학습된 resnet-152 모델을 안드로이드에 탑재하여, 이미지 분류기를 개발하는 데모를 소개한다.

 

MXNet 소개

들어가기 전에

이 글을 통해 완성하려는 안드로이드 앱은 다음과 같다.

mxnet_android_demo

그림. 이미지 분류 App 데모 실행 화면

앱을 실행하여 분류하려는 이미지를 추가한 후 “WHAT IS THIS” 버튼을 클릭한다. 예측 결과로는 이미지에 포함된 개체를 이미지 하단에 출력한다.

 

MXNet 튜토리얼

MXNet이란

MXNet은 오픈소스 딥러닝 프레임워크로 최근 아마존에서 MXNet을 공식적으로 채택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MXNet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Imperative 모델과 Symbolic 모델을 모두 지원
  • 멀티 CPU / GPU 지원 및 CPU – GPU 모델간 switch가 단순함
  • 서버 / 데스크톱 / 모바일 등 멀티 플랫폼 지원
  • 분산 학습 지원
  • 멀티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지원
  • 뛰어난 성능

 

MXNet 설치하기

MXNet을 설치한다. 플랫폼별 설치 방법은 MXNet: A Scalable Deep Learning Framework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Python /Pre-built /Linux / CUDA8.0″을 선택했으며, virtualenv 환경에서 설치한다.

그리고 아래 모듈도 필요한 경우 추가로 설치한다.

 

Imperative vs. Symbolic

MXNet은 MixNet이기도 한데, Imperative 모델과 Symbolic 모델을 섞어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기 때문이다. Imperative 모델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모델로,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위와 동일한 코드를 Symbolic 모델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심볼릭 프로그래밍 모델에서는 심볼을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에 대한 그래프를 먼저 정의한 후, 그래프에 실제값을 바인딩하여 실행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즉 오퍼레이션을 정의하는 과정과 오퍼레이션을 실행하는 단계가 분리되어 있다.

토치(Torch)는 Imperative 딥러닝 프로그래밍 모델이며, 텐서플로우(TensorFlow)는 Symbolic 모델을 사용한다. Imperative 모델은 기반 프로그래밍 모델(이 경우 파이썬)의 구문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좀더 유연하며, 디버깅이 용이하다. 반면 Symbolic 프로그래밍 모델에서는 기반 프로그래밍 요소를 사용할 수 없으며, 주어진 심볼릭 구분만을 이용해야 하므로 제약이 따른다. 심볼릭 프로그래밍 모델은 DSL(Domain Specific Language)로 볼 수 있으며, 메모리 재사용이 가능하고 실행 과정이 최적화된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은 Programming Models for Deep Learning에서 확인할 수 있다.

 

MXNet 기본 문법을 먼저 살펴보려고 한다. 관련 예제는 Github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Imperative 모델: mxnet.ndarray 고속배열 사용하기

먼저 고속 배열인 ndarray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Basics > CPU/GPU Array Manipulation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basics/ndarray_tutorial.py에 위치한다.

MXNet에서는 numpy의 고속배열인 numpy.ndarray와 유사한 mxnet.ndarry를 제공한다.

배열 생성하기

mx.nd.array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파이썬 리스트를 이용하여 1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2차원 배열도 비슷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본 배열 타입은 numpy.float32이며, 배열 생성시 배열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numpy와 마찬가지로 특수 배열 생성자를 지원한다.

 

기본 오퍼레이션

배열 요소 단위의 기본 오퍼레이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접근 및 슬라이스

요소 접근은 [] 구문은 사용한다.

 

슬라이스 구문은 각 axis별로 수행할 수 있다. 기본 axis는 0이다.

 

shape 변경하기

여타 고속배열과 마찬가지로 원본 메모리의 데이터는 그대로 둔 채 형태만 변경할 수 있다.

 

배열 연결하기(concatenate)

두 배열은 연결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axis별로 연결할 수 있다. 기본 axis는 0이다.

 

리듀스(reduce)하기

배열을 스칼라(scalar) 값으로 리듀스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axis별로 연결할 수 있다. 기본 axis는 0이다.

 

GPU 지원

MXNet은 멀티 CPU/GPU를 지원한다. CPU/GPU간 스위치는 컨텍스트(context)를 기반으로 하며, 여러개인 경우 CPU/GPU 숫자를 입력한다.

 

또는 아래와 같이 mx.Context() 구문을 이용할 수도 있다.

 

Symbolic 모델: mxnet.sym 심볼 사용하기

mxnet.sym을 이용하여 Symbolic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Basics > Neural Network Graphs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basics/symbol_tutorial.py에 위치한다.

computation graph 기본

mxnet.sym을 이용하여 Symbolic 모델을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심볼을 기반으로 computation graph를 구성한다.

 

mx.vis 패키지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려보자.

graph_basic

그림. mx.viz 패키지를 이용한 그래프 plotting

그래프는 데이터를 바인딩한 후 실행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텐서플로우의 session.run(..)과 동일한 형태라고 이해할 수 있다.

 

신경망 만들기

사칙연산 이외에 신경망을 구성하기 위한 오퍼레이션을 제공한다. 아래는 2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MLP(Multi Layer Perceptron)을 구성하는 예다.

아래는 그래프를 시각화한 것이다.

mlp_basic

그림. 2레이어 MLP

 

모듈화하기

CNN과 같이 깊은 신경망은 유사한 레이어가 반복적으로 필요하며, 각 레이어를 하나씩 추가하는 일은 소모적이다. 대신에 아래와 같이 Factory 함수로 모듈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ConvFactory() 함수를 이용하여 2개의 Convolution 레이어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아래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시각화된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conv_factory

그림. 2 레이어 CNN

 

 

computation graph 저장 및 로드하기

구성한 그래프는 JSON 형태로 저장하고, 다른 프로그램에서 로드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학습된 파라미터 또한 파일로 직렬화할 수 있으며, 관련된 내용은 조금 후에 다른다.

 

저수준 API를 이용한 훈련하기

앞에서 생성한 그래프를 훈련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Basics > Training and Inference with Module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basics/training_inference_low.py에 위치한다.

MXNet은 텐서플로우와 마찬가지로 저수준 API와 고수준 API를 제공한다. 텐서플로우의 경우 고수준 API는 tf.contfib.learn 패키지로 분리된 반면, MXNet에서는 mx.mod.Module을 저수준으로 사용할수도 있고 고수준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MXNet의 설계 철학으로 API를 유연하면서도 사용하기 쉽게 만들려는 목표 때문이다.

그래프 구성하기

먼저 학습할 데이터셋을 로드한다.

MXNet에서 데이터셋은 Iterator를 기반으로 구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 로드하기”에서 다룬다.

그리고 신경망 그래프를 구성한다.

시각화된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mlp

그림. MLP

 

상태 머신으로써의 Module

모듈은 computational 상태 머신으로 볼 수 있으며 아래의 상태를 차례대로 거친다

  • 초기 상태
    실볼 기반의 그래프만 존재하며 메모리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
    계산(computation)이 실행될 수 없는 상태
  • 데이터 바인딩 상태
    입력, 출력, 파라미터 등에 대해 메모리가 할당된 상태
    계산(computation)이 실행될 수 있는 상태
  • 파라미터 초기화 상태
    훈련 과정의 최적화를 위해 파라미터를 적절한 값으로 초기화환 상태
  • 옵티마이저 할당 상태
    옵티마이저가 할당된 상태
    계산(computation)을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파라미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상태

 

위의 네트워크는 아래와 같이 학습된다.

훈련 과정은 “forward -> backward -> update(parameter)”를 따른다.

 

mx.mod.Module을 이용한 훈련하기

앞에서 생성한 그래프를  고수준 API인 fit() 함수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Basics > Training and Inference with Module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basics/training_inference_module.py에 위치한다.

그래프 구성하기

앞에서 사용한 데이터셋 그래프를 그대로 사용한다. 먼저 학습할 데이터셋을 로드한다.

MXNet에서 데이터셋은 Iterator를 기반으로 구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데이터 로드하기”에서 다룬다.

그리고 신경망 그래프를 구성한다.

 

훈련 모듈 생성하기

그래프를 훈련시킬 모듈을 생성한다.

 

  • symbol: 신경망 그래프
  • context: 훈련 모드 (CPU / GPU)
  • data_names: 훈련 데이터 X의 key 값
  • label_names: 훈련데이터 Y의 key 값(레이블)

data_names와 label_names는 사용하는 데이터 Iterator에 정의하며, data_names는 ‘data’를 label_names의 경우 ‘softmax_label’을 기본값으로 사용한다. 아래는 데이터 Iterator에 정의된 각 key 값이다(util/data_iter.py).

 

훈련하기

모듈의 fit() 함수를 이용하여 훈련을 실행한다. 아래 코드에서는 SGD를 옵티마이저로 사용한다. 각 에폭이 끝날 때 마다 테스트 데이터셋(eval_data)를 이용하여 평가 정확도(Validatio-accuracy)를 측정할 수 있는 편의도 제공한다.

 

예측하기

훈련이 끝나면,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출력 레이블을 예측할 수 있으며 predict() 함수를 이용한다.

또는 forward()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predict와의 차이는 Iterator 객체가 아니라 (key, value) 형태의 Batch 객체를 받는다는 점과, 예측값을 리턴하지 않고 module.get_outputs()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predict() 함수 내부에서는 각 미니 Batch에 대해 forward() 함수를 호출한 후, 데이터를 합치는 코드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predict는 데이터셋 Iteator 전체에 대해 예측을 수행하므로 리턴되는 예측값의 크기가 메모리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moduel.iter_predict() 함수를 사용한다.

Batch별 메트릭이 아닌 전체 데이터셋에 대한 메트릭만 보려면 module.score() 함수를 이용한다.

 

사용할 수 있는 메트릭은 metric.py에 정의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다.

 

모델 저장 및 로드하기

학습이 진행되는 동안 각 에폭별로 체크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에폭별 체크포인트 파일과 모델에 대한 symbol.json 파일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된 체크포인트 파일에 대해 에폭번호를 지정하여 로드할 수 있다. 로드하는 항목은 모델(sym), 파라미터(arg_params), 부가 파라미터(aux_params)로 구성된다.

당연히 앞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모델(net.tojson())과 로드한 모델(sym.tojson())은 동일하며, 로드한 파라미터를 초기값으로 이용하여 3에폭 이후부터 재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훈련된 모델을 예측 서비스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자세한 내용은 “학습된 모델 로드하기”에서 다시 설명한다.

 

데이터 로드하기

먼저 고속 배열인 ndarray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Basics > Data Loading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basics/loading_data.py에 위치한다.

심볼과 변수

다시 앞의 MLP 그래프를 살펴보자.

훈련에 필요한 데이터는 입력과 출력의 쌍이다. 그리고 그래프 내부의 파라미터는 학습해야할 변수다.

 

  • ‘data’: 입력값을 가리키는 key
  • ‘softmax_label’: 출력 레이블을 가리키는 key
  • ‘softmax_output’: 모델의 예측값을 가리키는 key
  • ‘opname_varname’: 모델의 파라미터를 가리키는 key

즉 학습 파라미터는 ‘opname_varname’ 형태의 명명 규칙을 따르며, 입력값과 레이블을 가리키는 key값의 기본값은 각각 ‘data’, ‘opname_label’이다.

 

데이터 바인딩하기

훈련을 위한 데이터를 바인딩하는 일은 결국 ‘data’와 ‘softmax_label’에 값을 할당하는 일이다. 아래의 pseudo 코드와 같이 직접 데이터를 할당하여 바인딩할 수 있다.

 

데이터 Batch

학습 데이터를 직접 바인딩하지 않고, 배치 사이즈만큼의 데이터셋을 리턴할 수 있는 Iterator 기반으로 구현하면 더 효과적이다. 먼저 배치 사이즈 n에 대한 데이터셋을 나태느는 데이터 배치는 아래와 같이 구현한다.

 

  • data
    입력 데이터 X
    list of mx.nd.array로 구성
    데이터 shape의 첫 번째 차원은 batch_size가 됨
    예) 입력이 3x224x224 이미지이고 배치 사이즈가 100인 경우, data.shape은 (100, 3, 224, 224)여야 함
  • label
    출력 데이터 Y
    list of mx.nd.array로 구성
    데이터 shape의 첫 번째 차원은 batch_size가 됨
    예) 10개의 분류 문제이고 배치 사이즈가 100인 경우, label.shape은 (100, )여야 함
  • pad
    미니 배치중 배치 사이즈보다 남은 데이터가 적어 단순히 패딩한 데이터의 갯수
    일반적으로 0이며 0보다 큰 k값인 경우, 인덱스가 k 이상인 데이터는 하습에 사용되지 않음

 

데이터 Batch Iterator

데이터 Batch Iterator 구현을 위한 규칙은 다음과 같다.

  • next()
    호출시 다음 Batch를 리턴한다.
    다음 Batch가 없는 경우 StopIteraton 예외를 던진다
  • reset()
    처음 Batch로 초기화한다
  • provide_data 속성
    (입력 데이터 key, 입력 데이터 shape)을 리턴한다
  • provide_label 속성
    (출력 데이터 key, 출력 데이터 shape)을 리턴한다

위의 규칙을 따라 데이터 Batch Iterator를 간단히 구현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입력 데이터의 key와 출력 데이터 key는 앞서 정의한 네트워크의 arguments에 정의한 변수 명과 동일해야 한다(이 경우 각각 ‘data’, ‘softmax_label’에 해당).

 

데이터 Batch Iterator 사용 예시

데이터 Batch Iterator가 준비되면 아래와 같이 간단히 모듈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로드하기

이미지 데이터셋에 대한 Iterator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고속 배열인 ndarray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Basics > Image IO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basics/image_data_io.py에 위치한다.

MXNet에서 이미지 로드하는 방법

MXNet에서 이미지를 로드하는 방법엔 아래 3가지다.

  • mx.io.DataIter를 상쇽하여 커스텀 Iterator를 구현
  • mx.io.ImageRecordIter 사용
    예전 방법으로 유연성이 낮음
    Record IO 포맷으로 저장된 rec 파일로부터 데이터를 로드
  • mx.img.ImageIter 사용
    최신 방법으로 유연하며 확장이 쉬움
    rec 파일 뿐만 아니라 raw 이미지 파일을 로드 가능

 

이 장에서는 mx.io.ImageRecordIter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Record IO 포맷

mx.io.ImageRecordIter는 Record IO 포맷의 rec 파일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셋을 로드한다. 먼저 훈련한 데이터셋을 다운로드 한다. 데이터셋은 101개의 레이블로 구성된 이미지 파일들이다.

이미지 파일은 레이블을 하위 디렉토리명으로 구성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미지 파일을 rec 파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MXNET tool 함수 중 im2rec.py를 사용한다. mxnet 소스코드를 클론한다(–recursive추가하여 하위 프로젝트도 클론).

클론한 mxnet 디렉토리를 MXNET_HOME 변수로 할당한 후, 이미지에 대한 인덱스 파일을 생성한다.

 

  • list=1
    각 이미지는 1개의 레이블을 가진다
  • shuffle=1
    셔플링을 한다
  • train-ratio=0.8
    전체 데이터 중 80%를 훈련 데이터셋으로 만든다
  • test-ratio=0.2
    전체 데이터 중 20%를 테스트 데이터셋으로 만든다
  • data/caltech
    데이터 디렉토리에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며, 파일명에 대한 prefix로 caltech을 추가

위의 명령이 실행되면 아래와 같이 caltech_test.lst, clatech_train.lst 인덱스 파일이 생성된다.

인덱스 파일은 [이미지 번호 \t 레이블번호 \t 이미지 경로] 형태를 가진다.

 

이미지와 인덱스 파일을 이용하여 rec파일을 생성한다.

 

ImageRecordIter

생성된 rec 파일을 이용하여 ImageRecordIter 객체를 생성한다.

 

다른 Iterator와 마찬가지로 reset(), next()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 Batch에 접근할 수 있다.

 

MXNet 분류 예제

이 장에서는 MXNet을 이용하여 MNIST 필기체 분류 문제를 MLP와 CNN으로 각각 학습해 본다.

MNIST MLP

MNIST 분류 문제를 MLP를 이용하여 학습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Computer Vision > Handwritten Digit Classification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vision/mnist_classify.py에 위치한다.

데이터셋 다운로드하기

데이터셋을 다운로드한 후 로드한다. 관련 유틸 함수는 util/mnist_data.py에 위치한다.

각 이미지는 1x28x28 사이즈를 가지며, 60,000개의 훈련 데이터셋과 10,000개의 테스트 데이터셋으로 구성된다.

이미지는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mnist_img

경축! 아무것도 안하여 에스천사게임즈가 새로운 모습으로 재오픈 하였습니다.
어린이용이며, 설치가 필요없는 브라우저 게임입니다.
https://s1004games.com

그림. MNIST 이미지 10개

각 이미지에 대응하는 레이블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Batch Iterator 생성하기

mx.io.NDArrayIter 클래스를 이용하여 훈련 Iterator와 테스트 Iterator를 각각 생성한다. 각 이미지를 1x28x28 shape을 가지도록 변환하고 각 픽셀의 값을 0~1사이의 값이 되도록 255로 나눈다

 

MNIST MLP 그래프 정의하기

MLP 그래프를 구성한다. 이전 예제에서 본 MLP와 동일한 구조이며, 차이는 3차원(channel, width, height)로 구성된 입력 이미지를 1차원(channel * width *height)으로 shape을 변경한다는 점이다.

 

그래프를 그려서 확인해 본다.

mnist_mlp

그림. MNIST MLP

 

 

훈련 및 평가하기

모듈을 생성한 후 훈련을 실행한다. 데이터셋이 사이즈가 크므로, cpu가 아닌 gpu에서 실행하기 위해 context=mx.gpu()를 설정한다.

 

훈련이 완료되면 테스트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테스트 정확도를 확인한다.

 

MNIST CNN

MNIST 분류 문제를 MLP를 이용하여 학습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Python > Computer Vision > Image Classification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vision/mnist_cnn_classify.py에 위치한다. 동일한 문제를 같은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CNN으로 학습하는 과정은 그래프를 정의하는 방법에서만 차이가 난다. 따라서 데이터셋을 다운로드하고 데이터 Batch Iterator를 생성하는 부분은 앞의 예제와 완전히 동일하다.

 

 

MNIST MLP 그래프 정의하기

Convolution 레이어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구성한다.

 

훈련 및 평가하기

훈련 및 평가하는 과정도 MLP 예제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 경우 평가 정확도는 다음과 같다.

 

resnet-152: 학습된 모델 로드하기

이 장에서는 모바일에 탑재할 모델을 설명한다. 관련 내용은 Tutorials > HowTo > Predict with pre-trained models을 참고했으며 예제 코드는 howto/resnet-152.py에 위치한다.

학습된 모델: resnet-152

예제 모델은 10M개의 ImageNet 전체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10,000개의 레이블을 분류하도록 학습된 모델이다. 먼저 학습된 모델을 다운로드한다.

 

아래와 같이 그래프 정의인 symbol.json과 학습된 파라미터 파일인 params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학습된 모델 로드하기

학습된 모델을 로드한다. 먼저 앞서 다운로드받은 심볼 파일과 파라미터 파일을 mx.model.load_checkpoint() 함수를 이용하여 로드한다.

 

로드한 그래프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모듈을 초기화한다. 새로운 이미지를 예측할 때는 1개의 이미지만을 사용하므로 shape을 (1, 3, 224, 224)로 설정한다(1 image x 3 channels x 224 width x 224 height).

 

예측할 데이터 준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할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압축이 풀링 val1000/ 디렉토리에는 총 1000개의 이미지가 들어있다. 그리고 label 파일이 추가로 있는데, 각 이미지의 실제 레이블의 index를 숫자형태로 포함하고 있다.

이미지별 레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하나 생성한다.

그리고 레이블을 숫자가 아닌 실제 단어로 매핑하기 위한 synset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리스트 형태로 준비한다.

synsets의 각 index(key)는 앞의 label의 숫자값이며, value는 텍스트 단어다. 즉 0.jpg(577)과 1.jpg(201)은 각각  “gong, tam-tam”, “silky terrier, Sydney sily”다.

 

실제로 0.jpg ~ 7.jpg 이미지를 확인해 본다.

resnet152_images

그림. 예측할 테스트 이미지 몇가지

 

이미지 변환하기

이미지를 resnet-152에 맞게 변환한다. 즉 이미지를 (1, 3, 224, 224) 형태로 변경해야 한다. 아래 코드를 보자.

 

위와 같은 역할을 하는 아래와 같이 함수를 정의한다.

 

예측하기

새로운 이미지에 대해 예측하려면 mx.mod.Module.forward(Batch(..)) 함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미지에 대핸 numpy 배열을 Batch([mx.nd.array(img)])와 같은 형태로 변환 후 forward(..) 함수로 전달한다.

 

모델 준비하기

모바일 App 데모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resnet-152 모델을 사용한다. 위의 예제에서 설명한 아래의 파일을 준비해 둔다.

  • resnet-50-symbol.json
    네트워크 모델 그래프
  • resnet-50-000.params
    학습된 파라미터
  • synsets.txt
    레이블 정보

 

MXNet for Mobile

MXNet은 다양한 플랫폼에 쉽게 이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모바일도 그 중 하나로, 모바일 탑재가 용이하도록 전체 MXNet 라이브러리를 1개의 소스 코드로 합치는 amalgamation 생성 스크립트를 지원한다. 이는 텐서플로우와 비슷한데 아래 그림을 보자.

android-tensorflow-app-structure_1

그림, 학습된 모델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
(출처: Supercharging Android Apps With TensorFlow)

즉 학습된 모델을 모바일에 탑재하여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분류정보를 제시한다. 내부적으로는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모바일 기기에 탑재하고, SDK에서는 JNI 호출을 통해서 딥러닝 프레임워크를 호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android-tensorflow-app-structure_2

그림, JNI 호출을 통합 딥러닝 프레임워크 API 사용
(출처: Supercharging Android Apps With TensorFlow)

위의 그림에서 TensorFlow 부분만 MXNet으로 변경하면 그 구조는 완전히 동일하다.

 

MXNet Amalgamation

MXNet amalgamation 프로젝트는 MXNet Amalgamation에 위치한다. 현재 amalgamation 생성 스크립트는 예측 API만을 하나의 소스 파일로 생성한다. 즉 서버에서 모델을 학습하고, 모바일 기기에서는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예측만 하면 되므로 예측 API만 필요하다.

amalgamation 코드 생성하기

먼저 앞에서 클론한 MXNET 프로젝트에서 amalgamation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그리고 make 명령어를 실행하면  아래 2개의 파일이 생성된다.

  • mxnet_predict-all.cc
    예측 API를 컴파일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스 코드 파일
  • ../lib/libmxnet_predict.so
    예측을 위한 동적 라이브러리

 

 

MXNet amalgamation 코드는 BLAS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이 있으며, 안드로이드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안드로이드 NDK 빌드 환경을 설치한 후 BLAS 라이브러리를 안드로이드 디바이스(ARM, X86, 등)에 맞게 빌드해야 한다. 데모와 빌드를 위해 안드로이드 개발/빌드 환경을 먼저 구축한다.

 

안드로이드 개발환경 구축하기

안드로드이드 스튜디오 설치하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가이드는 Install Android Studio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순히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후 압축만 풀면 된다.

 

데모 프로젝트 살펴보기

데모 프로젝트는 Github > Leliana / WhatsThis를 사용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앞에서 설명한 resnet-152 모델을 안드로이드에 탑재한 프로젝트다. 먼저 프로젝트를 클론한다.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java/com/happen/it/make/wahtsit
    앱 어플리케이션 코드
  • java/org/dmlc/mxnet
    MXNet JNI 라이브러
  • jniLibs/armeabi/libmxnet_predict.so
    MXNet JNI 공유 라이브러
  • res/raw/
    학습된 모델 파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하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한다.

android_studio

그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화면

 

클론한 WhatsThis 프로젝트를 Import(Import project)한다. 프로젝트가 임포트되면 아래와 같은 경고가 나타나면 일단 설치해 둔다(본인은 안드로이드 개발을 잘 모르기에 일단 다 설치했다).

android_after_import_warn

그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처음 실행시 나타난 경고들

 

AVD 생성하기

앱을 에뮬레이션 할 AVD를 생성한다. 대개의 노트북/PC는 x86이므로 AVD도 x86 계열로 생성해야 속도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avd_x86

그림. x86 AVD 생성

 

WhatsThis 프로젝트에서는 armeabi 계열용 so 라이브러리만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에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MXNet amalgamation 코드를 x86에 맞게 새롭게 빌드해야 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빌드 환경에 맞게 MXNet을 빌드하기 위해서는 안드로이드 NDK 빌드 툴을 설치해야 한다.

 

NDK 설치하기

안드로이드 NDK에 대한 설명은 Android NDK에서 확인할 수 있다. NDK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내에서 설치가 가능하다. 메뉴에서 Tools > Android > SDK Manager를 선택한다. [SDK Tools] 탭을 선택한 후, CMake, LLDB, NDK를 클릭한 후 Apply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ndk_install

그림. NDK 설치하기

 

OpenBlas 빌드하기

먼저 MXNet MXNet amalgamation 코드가 의존하는 Blas 라이브러리를 빌드한다. 안드로이드 아키텍처에 맞게 OpenBLAS를 빌드하는 자세한 방법은 How to build OpenBLAS for Android에서 확인할 수 있다.

OpenBLAS 코드 받기

먼저 OpenBLAS 코드를 클론한다.

 

안드로이드 Toolchain 생성하기

안드로이드는 NDK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andalone Toolchain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Standalone Toolchai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툴체인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arch
    안드로이드 목표 아키텍처
  • api
    지원할 API 레벨(하위)
  • install-dir
    툴체인 생성할 위치

툴체인 생성 스크립트는 Android/Sdk/ndk-bundle/build/tools에 위치한다. 이 글의 목표 아키텍처는 x86이므로 아래와 같이 툴체인을 생성한다.

 

  • –stl libc++
    OpenBLAS를 x86 아키텍처에 맞게 빌드할 때 libc++ 라이브러리를 정적으로 링크하기 위해서 옵션을 추가했다(무한 삽질의 결과로)

 

OpenBLAS 빌드하기

앞에서 생성한 x86  툴체인을 PATH에 추가한다.

make 파일을 실행한다.

 

  • TARGET
    안드로이드 목표 아키텍처
    TargetList.txt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HOSTCC
    로컬 CC
  • CC
    안드로이드 목표 아키텍처 CC
    앞에서 생성한 툴체인에 위치(/tmp/android-x86-toolchain/bin)

 

설치한다.

 

에러가 나는데 so 라이브러리를 copy 하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어제(2017-04-11) Make.install 파일 부분이 변경되었는데, 목표가 ANDROID 플랫폼인 경우에도 so 파일을 copy 하도록 변경되었다. 현재 버그가 있는 상태인데, MXNet을 빌드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MXNet for Android 빌드하기

클론한 mxnet 프로젝트로 이동 후, 빌드 환경을 설정한다.

 

[참고로]

gcc / g++ 대신 clang/clang++을 사용했는데, 이 역시 삽질과 구글링의 결과다. 해당 플랫폼에 이해가 없어 구글링한 내용을 아래에 붙여둔다.

“GCC deprecation: This release ends active support for GCC. GCC is not removed from the NDK just yet, but will no longer receive backports. As some parts of gnustl are still incompatible with Clang, GCC won’t be entirely removed until after libc++ has become stable enough to be the default.”
(https://developer.android.com/ndk/downloads/revision_history.html)

 

make를 실행하기 전에 Makefie 파일을 수정한다. 먼저 앞에서 빌드한 OpenBLAS 경로를 변경한다.

mxnet_predict-all.cc 파일을 열어서 fopen64(..) 호출을 fopen(..)으로 변경한다(2군데).

Makefile의 링크 단계에서 libstc++d을 정적으로 사용하도록 -static-libstdc++을 추가한다.

이 또한 구글링한 결과이며 아래와 같다.

“Similarly, you can specify –stl=libc++ to copy the LLVM libc++ headers and libraries. Unlike gnustl and stlport, you do not need to explicitly pass -lc++_shared to use the shared library. The shared library will be used by default unless building a static executable. To force the use of the static library, pass -static-libstdc++ when linking. This behavior matches that of a normal host toolchain.”
(https://developer.android.com/ndk/guides/standalone_toolchain.html)

 

빌드를 진행한다.

완료되면 jni_libmxnet_predict.so 파일이 생성된다.

 

이미지 분류 안드로이드 App

이 장에서는 MXNet으로 학습한 res-152 모델을 WhatThis 앱에 탑재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앞에서 x86 아키텍처에 맞게 빌드한 jni_libmxnet_predict.so 사용하며, 이를 통해 x86 AVD에서 에뮬레이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APK로 설치하려면 WhatThis에 포함된 armeabi/libmxnet_predict.so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jniLibs/에 x86/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 앞에서 빌드한 jni_libmxnet_predict.so 파일을 libmxnet_predict.so라는 이름으로 추가한다.

and_add_so

그림. x86 so 라이브러리 추가

 

모델 추가하기

프로젝트의 res/raw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은 모두 삭제한 후, 앞에서 다운로드한 res-152 모델을 res/raw 디렉토리로 아래와 같이 이름을 변경하여 복사한다.

and_add_model

그림. res-152 모델 파일 추가

 

파일명에 대한 resource 명이 변경되었으므로 해당 모델을 로드하는 WhatsApplication.java 파일을 열어 onCreate(..) 메서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그리고 mean 파일도 사용하지 않으므로 MXNetUtils.java 파일을 열어서 아래와 같이 변경한다.

 

실행하기

프로젝트를 앞에서 생성한 x86 AVD를 이용하여 에뮬레이터를 실행한다.

whatsthis_run

그림. WhatsThis 에뮬레이터 실행 화면

 

중앙의 “+”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할 이미지를 선택한다. 카메라로 새로 찍고 싶으면 “USE CAMERA”를 선택한 후 “+”를 선택한다.

whatsthis_predcit

그림. 이미지에 대한 예측 결과 보기

 

코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

JNI 호출을 위한 자바 클래스는 org.dmlc.mxnet.Predictor.java에 위치하며, 예측을 위한 메서드는 forward(..) 메서드다.

 

  • key
    입력 데이터의 key값이다
    앞의 res-152 모델에서는 “data”를 사용했다
  • input
    예측할 이미지에 대한 배열

 

새로운 Bitmap 이미지를 flot[] 배열로 변환 후 forward 메서드를 호출하면 예측값을 반환받는다. MXNetUtils.java에 유틸리티 메서드로 정의되어 있다.

 

 

생각해 볼 것들

모바일 기기에서는 학습된 모델을 기반으로 단순히 예측만 할 뿐이지만, 아직 컴퓨팅 자원이 많이 모자르다. 아래는 Deep Learning in a Single File for Smart Devices에서 Nexus5에서 측정한 성능 결과다.

mxnet_mobile_performance

그림. Nexus5에서 모델별 성능 측정 결과
(출처: Deep Learning in a Single File for Smart Devices)

 

즉 모델이 복잡해질수록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처리 시간은 증가한다. 모바일 서비스의 경우 실시간 서비스여야 하므로 최소한 1초 이내의 응답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위의 경우에는 50% 정도의 정확도가 최선이다. 따라서 모바일에 예측 서비스를 탑재하는 경우 “성능-응답속도” 사이의 trade-off가 적절하도록 모델을 구성하고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자료

 

[출처] http://www.popit.kr/mxnet%EC%9D%84-%ED%99%9C%EC%9A%A9%ED%95%9C-%EC%9D%B4%EB%AF%B8%EC%A7%80-%EB%B6%84%EB%A5%98-%EC%95%B1-%EA%B0%9C%EB%B0%9C%ED%95%98%EA%B8%B0/

 

 

본 웹사이트는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고 클릭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모두 웹사이트 서버의 유지 및 관리, 그리고 기술 콘텐츠 향상을 위해 쓰여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5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VBA Web Scraping: How Can VBA Be Used To Scrape Website Data? file 졸리운_곰 2024.04.13 3
1194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윈도우 실행파일 구조(PE파일) file 졸리운_곰 2024.03.31 3
1193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Analysis] PE(Portable Executable) 파일 포맷 공부 file 졸리운_곰 2024.03.31 3
1192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성공하는 메타버스의 3가지 조건 file 졸리운_곰 2024.03.30 7
1191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REST, REST API, RESTful 과 HATEOAS file 졸리운_곰 2024.03.10 9
1190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렌더링 삼형제 CSR, SSR, SSG 이해하기 file 졸리운_곰 2024.03.10 2
1189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엑셀 VBA에서 셀레니움 사용을 위한 Selenium Basic 설치 file 졸리운_곰 2024.02.23 11
1188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500 Lines or Less Blockcode: A Visual Programming Toolkit : 500줄 이하의 블록코드: 시각적 프로그래밍 툴킷 졸리운_곰 2024.02.12 4
1187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구글 클라이언트(앱) 아이디를 발급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졸리운_곰 2024.01.28 3
1186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빅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오픈하기 위한 팁 졸리운_곰 2023.12.27 16
1185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빅뱅 전환보다 단계적 전환 방식이 이상적 애자일팀과 협업 쉽게 체질 개선을” file 졸리운_곰 2023.12.27 12
1184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Big-bang / phased 접근 file 졸리운_곰 2023.12.27 3
1183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CodeDragon 메뉴 데이터 전환의 개념 이해 - 데이터 전환의 개념, 데이터 전환방식, 데이터 전환방식 및 장단점 비교, 데이터전환 이후 검토해야 할 사항 졸리운_곰 2023.12.27 5
1182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블록체인과 IPFS를 이용한 안전한 데이터 공유 플랫폼 - 분쟁 해결 시스템 file 졸리운_곰 2023.12.27 6
1181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블록체인과 IPFS를 이용한 안전한 데이터 공유 플랫폼 - 개념과 리뷰 시스템 file 졸리운_곰 2023.12.27 4
1180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소켓 CLOSE_WAIT 발생 현상 및 처리 방안 file 졸리운_곰 2023.12.03 7
1179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robots 설정하기 졸리운_곰 2023.12.03 3
1178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A Tutorial and Elementary Trajectory Model for the Differential Steering System of Robot Wheel Actuators : 로봇 휠 액츄에이터의 차동 조향 시스템에 대한 튜토리얼 및 기본 궤적 모델 file 졸리운_곰 2023.11.29 6
1177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Streamline Your MLOps Journey with CodeProject.AI Server : CodeProject.AI 서버로 MLOps 여정을 간소화하세요 file 졸리운_곰 2023.11.25 2
1176 [ 一日30分 인생승리의 학습법] Comparing Self-Hosted AI Servers: A Guide for Developers / : 자체 호스팅 AI 서버 비교: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file 졸리운_곰 2023.11.25 10
대표 김성준 주소 : 경기 용인 분당수지 U타워 등록번호 : 142-07-27414
통신판매업 신고 : 제2012-용인수지-0185호 출판업 신고 : 수지구청 제 123호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 : 김성준 sjkim70@stechstar.com
대표전화 : 010-4589-2193 [fax] 02-6280-1294 COPYRIGHT(C) stechstar.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