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텐서플로우][SSAC X AIFFEL] 작사가 인공지능 만들기

Copy of 6. 작사가 인공지능 만들기

학습목표


  • 인공지능이 문장을 이해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본다.
  • 시퀀스에 대해 알아본다.

시퀀스(Sequence)

시퀀스는 데이터에 순서(번호)를 붙여 나열한 것이다. 시퀀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를 순서대로 하나씩 나열하여 나타낸 데이터 구조이다.
  • 특정 위치(~번째)의 데이터를 가리킬 수 있다.

문장은 각 단어들이 문법이라는 규칙을 따라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시퀀스 데이터로 볼 수 있다.

문법은 복잡하기 때문에 문장 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을 만들 때에는 통계에 기반한 방법을 이용한다.

순환신경망(RNN)

나는 공부를 [ ]에서 빈 칸에는 한다 라는 단어가 들어갈 것이다. 문장에는 앞 뒤 문맥에 따라 통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단어들이 있다. 인공지능이 글을 이해하는 방식도 위와 같다. 문법적인 원리를 통해서가 아닌 수많은 글을 읽게하여 통계적으로 다음 단어는 어떤 것이 올지 예측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가장 적합한 인공지능 모델 중 하나가 순환신경망(RNN)이다.

 

 

시작은 <start>라는 특수한 토큰을 앞에 추가하여 시작을 나타내고, <end>라는 토큰을 통해 문장의 끝을 나타낸다.

언어 모델

나는공부를한다 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때, 우리는 공부를 다음이 한다인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나는 다음이 한다인 것은 어딘가 어색하게 느껴진다. 실제로 인공지능이 동작하는 방식도 순전히 운이다.

이것을 좀 더 확률적으로 표현해 보면 나는 공부를 다음에 한다가 나올 확률을 $p(한다|나는, 공부를)$라고 하면, $p(공부를|나는)$보다는 높게 나올 것이다. $p(한다|나는, 공부를, 열심히)$의 확률값은 더 높아질 것이다.

문장에서 단어 뒤에 다음 단어가 나올 확률이 높다는 것은 그 단어가 자연스럽다는 뜻이 된다. 확률이 낮다고 해서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단어 뒤에 올 수 있는 자연스러운 단어의 경우의 수가 워낙 많아서 불확실성이 높을 뿐이다.

n-1개의 단어 시퀀스 $w_1,⋯,w_{n-1}$이 주어졌을 때, n번째 단어 $w_n$으로 무엇이 올지 예측하는 확률 모델을 언어 모델(Language Model)이라고 부른다. 파라미터 $\theta$로 모델링 하는 언어 모델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언어 모델은 어떻게 학습시킬 수 있을까? 언어 모델의 학습 데이터는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 답은 간단하다. 어떠한 텍스트도 언어 모델의 학습 데이터가 될 수 있다. x_train이 n-1번째까지의 단어 시퀀스고, y_train이 n번째 단어가 되는 데이터셋이면 얼마든지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잘 훈련된 언어 모델은 훌륭한 문장 생성기가 된다.

경축! 아무것도 안하여 에스천사게임즈가 새로운 모습으로 재오픈 하였습니다.
어린이용이며, 설치가 필요없는 브라우저 게임입니다.
https://s1004games.com

인공지능 만들기

(1) 데이터 준비


import re
import numpy as np
import tensorflow as tf
import os

# 파일 열기
file_path = os.getenv('HOME') + '/aiffel/lyricist/data/shakespeare.txt'
with open(file_path, "r") as f:
    raw_corpus = f.read().splitlines() # 텍스트를 라인 단위로 끊어서 list 형태로 읽어온다.

print(raw_corpus[:9])

데이터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문장(대사)뿐이므로, 화자 이름이나 공백은 제거해주어야 한다.

# 문장 indexing
for idx, sentence in enumerate(raw_corpus):
    if len(sentence) == 0: continue   # 길이가 0인 문장은 스킵
    if sentence[-1] == ":": continue  # :로 끝나는 문장은 스킵

    if idx > 9: break

    print(sentence)

이제 문장을 단어로 나누어야 한다. 문장을 형태소로 나누는 것을 토큰화(Tokenize)라고 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은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다. 그러나 문장부호, 대소문자, 특수문자 등이 있기 때문에 따로 전처리를 먼저 해주어야 한다.

# 문장 전처리 함수
def preprocess_sentence(sentence):
    sentence = sentence.lower().strip() # 소문자로 바꾸고 양쪽 공백을 삭제

        # 정규식을 이용하여 문장 처리
    sentence = re.sub(r"([?.!,¿])", r" 80143 ", sentence) # 패턴의 특수문자를 만나면 특수문자 양쪽에 공백을 추가
    sentence = re.sub(r'[" "]+', " ", sentence) # 공백 패턴을 만나면 스페이스 1개로 치환
    sentence = re.sub(r"[^a-zA-Z?.!,¿]+", " ", sentence) # a-zA-Z?.!,¿ 패턴을 제외한 모든 문자(공백문자까지도)를 스페이스 1개로 치환

    sentence = sentence.strip()

    sentence = '<start> ' + sentence + ' <end>' # 문장 앞뒤로 <start>와 <end>를 단어처럼 붙여 줍니다

    return sentence

print(preprocess_sentence("Hi, This @_is ;;;sample        sentence?"))

우리가 구축해야할 데이터셋은 입력이 되는 소스 문장(Source Sentence)과 출력이 되는 타겟 문장(Target Sentence)으로 나누어야 한다.

언어 모델의 입력 문장 : <start> 나는 공부를 한다
언어 모델의 출력 문장 : 나는 공부를 한다 <end>

위에서 만든 전처리 함수에서 를 제거하면 소스 문장, 를 제거하면 타겟 문장이 된다.

corpus = []

# 모든 문장에 전처리 함수 적용
for sentence in raw_corpus:
    if len(sentence) == 0: continue
    if sentence[-1] == ":": continue

    corpus.append(preprocess_sentence(sentence))

corpus[:10]

이제 문장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로 변경해주어야 한다. 텐서플로우는 자연어 처리를 위한 여러 가지 모듈을 제공하며, tf.keras.preprocessing.text.Tokenizer 패키지는 데이터를 토큰화하고, dictionary를 만들어주며, 데이터를 숫자로 변환까지 한 번에 해준다. 이 과정을 벡터화(Vectorize)라고 하며, 변환된 숫자 데이터를 텐서(tensor)라고 한다.

def tokenize(corpus):
    # 텐서플로우에서 제공하는 Tokenizer 패키지를 생성
    tokenizer = tf.keras.preprocessing.text.Tokenizer(
        num_words=7000,   # 전체 단어의 개수 
        filters=' ',      # 전처리 로직
        oov_token="<unk>" # out-of-vocabulary, 사전에 없는 단어
    )
    tokenizer.fit_on_texts(corpus) # 우리가 구축한 corpus로부터 Tokenizer가 사전을 자동구축

    # tokenizer를 활용하여 모델에 입력할 데이터셋을 구축
    tensor = tokenizer.texts_to_sequences(corpus) # tokenizer는 구축한 사전으로부터 corpus를 해석해 Tensor로 변환

    # 입력 데이터의 시퀀스 길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padding  메소드
    # maxlen의 디폴트값은 None. corpus의 가장 긴 문장을 기준으로 시퀀스 길이가 맞춰진다
    tensor = tf.keras.preprocessing.sequence.pad_sequences(tensor, padding='post')  

    print(tensor,tokenizer)
    return tensor, tokenizer

tensor, tokenizer = tokenize(corpus)

print(tensor[:3, :10]) # 생성된 텐서 데이터 확인

# 단어 사전의 index
for idx in tokenizer.index_word:
    print(idx, ":", tokenizer.index_word[idx])

    if idx >= 10: break

src_input = tensor[:, :-1] # tensor에서 마지막 토큰을 잘라내서 소스 문장을 생성. 마지막 토큰은 <end>가 아니라 <pad>일 가능성이 높다.
tgt_input = tensor[:, 1:]  # tensor에서 <start>를 잘라내서 타겟 문장을 생성.

print(src_input[0])
print(tgt_input[0])

# 데이터셋 구축
BUFFER_SIZE = len(src_input)
BATCH_SIZE = 256
steps_per_epoch = len(src_input) // BATCH_SIZE

VOCAB_SIZE = tokenizer.num_words + 1 # 0:<pad>를 포함하여 dictionary 갯수 + 1

dataset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src_input, tgt_input)).shuffle(BUFFER_SIZE)
dataset = dataset.batch(BATCH_SIZE, drop_remainder=True)
dataset
  • 데이터셋 생성 과정 요약
    • 정규표현식을 이용한 corpus 생성
    • tf.keras.preprocessing.text.Tokenizer를 이용해 corpus를 텐서로 변환
    • tf.data.Dataset.from_tensor_slices()를 이용해 corpus 텐서를 tf.data.Dataset객체로 변환

(2) 모델 학습하기


이번에 만들 모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모델 생성
class TextGenerator(tf.keras.Model):
    def __init__(self, vocab_size, embedding_size, hidden_size):
        super(TextGenerator, self).__init__()

        self.embedding = tf.keras.layers.Embedding(vocab_size, embedding_size)
        self.rnn_1 = tf.keras.layers.LSTM(hidden_size, return_sequences=True)
        self.rnn_2 = tf.keras.layers.LSTM(hidden_size, return_sequences=True)
        self.linear = tf.keras.layers.Dense(vocab_size)

    def call(self, x):
        out = self.embedding(x)
        out = self.rnn_1(out)
        out = self.rnn_2(out)
        out = self.linear(out)

        return out

embedding_size = 256 # 워드 벡터의 차원 수
hidden_size = 1024 # LSTM Layer의 hidden 차원 수
model = TextGenerator(tokenizer.num_words + 1, embedding_size , hidden_size)

# 모델의 데이터 확인
for src_sample, tgt_sample in dataset.take(1): break
model(src_sample)
# 모델의 최종 출력 shape는 (256, 20, 7001)
# 256은 batch_size, 20은 squence_length, 7001은 단어의 갯수(Dense Layer 출력 차원 수)

model.summary() # sequence_length를 모르기 때문에 Output shape를 정확하게 모른다.

# 모델 학습
optimizer = tf.keras.optimizers.Adam()
loss = tf.keras.losses.SparseCategoricalCrossentropy(
    from_logits=True,
    reduction='none'
)

model.compile(loss=loss, optimizer=optimizer)
model.fit(dataset, epochs=30)

위의 코드에서 embbeding_size 는 워드 벡터의 차원 수를 나타내는 parameter로, 단어가 추상적으로 표현되는 크기를 말한다. 예를 들어 크기가 2라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차갑다: [0.0, 1.0]
  • 뜨겁다: [1.0, 0.0]
  • 미지근하다: [0.5, 0.5]

(3) 모델 평가하기


인공지능을 통한 작문은 수치적으로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평가를 해야 한다.

# 문장 생성 함수
def generate_text(model, tokenizer, init_sentence="<start>", max_len=20):
    # 테스트를 위해서 입력받은 init_sentence도 텐서로 변환
    test_input = tokenizer.texts_to_sequences([init_sentence])
    test_tensor = tf.convert_to_tensor(test_input, dtype=tf.int64)
    end_token = tokenizer.word_index["<end>"]

    # 단어를 하나씩 생성
    while True:
        predict = model(test_tensor)  # 입력받은 문장
        predict_word = tf.argmax(tf.nn.softmax(predict, axis=-1), axis=-1)[:, -1]   # 예측한 단어가 새로 생성된 단어 

        # 우리 모델이 새롭게 예측한 단어를 입력 문장의 뒤에 붙이기
        test_tensor = tf.concat([test_tensor, 
                                                                 tf.expand_dims(predict_word, axis=0)], axis=-1)

        # 우리 모델이 <end>를 예측했거나, max_len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while 루프를 또 돌면서 다음 단어를 예측
        if predict_word.numpy()[0] == end_token: break
        if test_tensor.shape[1] >= max_len: break

    generated = ""
    # 생성된 tensor 안에 있는 word index를 tokenizer.index_word 사전을 통해 실제 단어로 하나씩 변환
    for word_index in test_tensor[0].numpy():
        generated += tokenizer.index_word[word_index] + " "

    return generated   # 최종 생성된 자연어 문장

# 생성 함수 실행
generate_text(model, tokenizer, init_sentence="<start> i love")

회고록

  • range(n)도 reverse() 함수가 먹힌다는 걸 오늘 알았다...
  • 예시에 주어진 train data 갯수는 124960인걸 보면 총 데이터는 156200개인 것 같은데 아무리 전처리 단계에서 조건에 맞게 처리해도 168000개 정도가 나온다. 아무튼 일단 돌려본다.
  • 문장의 길이가 최대 15라는 이야기는 <start>, <end>를 포함하여 15가 되어야 하는 것 같아서 tokenize했을 때 문장의 길이가 13 이하인 것만 corpus로 만들었다.
  • 학습 회차 별 생성된 문장 input : <start> i love
    • 1회차 '<start> i love you , i love you <end> '
    • 2회차 '<start> i love you , i m not gonna crack <end> '
    • 3회차'<start> i love you to be a shot , i m not a man <end> '
    • 4회차 '<start> i love you , i m not stunning , i m a fool <end> '
  • batch_size를 각각 256, 512, 1024로 늘려서 진행했는데, 1epoch당 걸리는 시간이 74s, 62s, 59s 정도로 batch_size 배수 만큼의 차이는 없었다. batch_size가 배로 늘어나면 걸리느 시간도 당연히 반으로 줄어들 것이라 생각했는데 오산이었다.
  • 1회차는 tokenize 했을 때 length가 15 이하인 것을 train_data로 사용하였다.
  • 2, 3, 4회차는 tokenize 했을 때 length가 13 이하인 것을 train_data로 사용하였다.
  • 3회차는 2회차랑 동일한 데이터에 padding 을 post에서 pre로 변경하였다. RNN에서는 뒤에 padding을 넣는 것 보다 앞쪽에 padding을 넣어주는 쪽이 마지막 결과에 paddind이 미치는 영향이 적어지기 때문에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알고있기 때문이다.
  • 근데 실제로는 pre padding 쪽이 loss가 더 크게 나왔다. 확인해보니 이론상으로는 pre padding이 성능이 더 좋지만 실제로는 post padding쪽이 성능이 더 잘 나와서 post padding을 많이 쓴다고 한다.
  • batch_size를 변경해서 pre padding을 한 번 더 돌려보았더니 같은 조건에서의 post padding 보다 loss가 높았고 문장도 부자연스러웠다. 앞으로는 post padding을 사용해야겠다.

 

[출처] https://ceuity.tistory.com/26

 

본 웹사이트는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고 클릭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모두 웹사이트 서버의 유지 및 관리, 그리고 기술 콘텐츠 향상을 위해 쓰여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오라클 기본 샘플 데이터베이스 졸리운_곰 2014.01.02 25085
공지 [SQL컨셉] 서적 "SQL컨셉"의 샘플 데이타 베이스 SAMPLE DATABASE of ORACLE 가을의 곰을... 2013.02.10 24564
공지 [G_SQL] Sample Database 가을의 곰을... 2012.05.20 25943
965 [MySQL] 관리자 root , admin 계정 추가 : MySQL 관리자 계정 추가 졸리운_곰 2021.09.26 69
964 [MySQL] mysql 에서 컬럼과 로우 바꾸기, 행과 열 바꾸기 How to Transpose Rows to Columns Dynamically in MySQL file 졸리운_곰 2021.09.13 27
963 [Oracle] rollup 쿼리 , 오라클 부분합 구하기 file 졸리운_곰 2021.09.01 216
962 [MySQL] MySQL ROLLUP , summary, 부분합 구하기 file 졸리운_곰 2021.09.01 30
961 [python][tensorflow - gpu] [파이썬] 텐서플로(TensorFlow) 설치하는 방법, 딥러닝 환경 구축하기 file 졸리운_곰 2021.08.17 46
960 [tensorflow 설치] windows에서 tensorflow-gpu 1.x 버전 설치, python - 이전 버전의 Tensorflow GPU 설치 졸리운_곰 2021.08.17 20
959 [한글 처리][tensorflow] 한글 자연어처리를 위한 도구들, 자료들, 정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졸리운_곰 2021.08.11 84
958 카프카 설치 시 가장 중요한 설정 4가지 졸리운_곰 2021.07.13 46
957 [데이터분석][파이썬][python] Awesome Dash Awesome file 졸리운_곰 2021.07.10 49
956 [데이터분석][파이썬][python] ???? Introducing Dash ???? file 졸리운_곰 2021.07.10 111
» [딥러닝] [텐서플로우][SSAC X AIFFEL] 작사가 인공지능 만들기 file 졸리운_곰 2021.07.10 45
954 [Kafka] Kafka 한번 살펴보자... Quickstart file 졸리운_곰 2021.06.18 27
953 Java Kafka Producer, Consumer 예제 구현 Java를 이용하여 Kafka Producer와 Kakfa Consumer를 구현해보자. file 졸리운_곰 2021.06.18 105
952 Beginner’s Guide to Understand Kafka file 졸리운_곰 2021.06.18 23
951 [Kafka] Kafka 설치/실행 및 테스트 file 졸리운_곰 2021.06.18 36
950 [java] [kafka] [Kafka] 개념 및 기본예제 file 졸리운_곰 2021.06.16 115
949 [Oracle, 오라클 dbms] [ORACLE] 오라클 테이블 & 컬럼 조회 하는 방법 졸리운_곰 2021.05.17 90
948 [dataset] (한글) 욕설 감지 데이터셋 file 졸리운_곰 2021.05.12 202
947 [java dbms][database] [컴] Apache Derby 사용하기 - 4 - in-memory DB 졸리운_곰 2021.04.15 76
946 [java dbms][database] [컴] Apache Derby 사용하기 - 3 - Apache Derby Network Server 졸리운_곰 2021.04.15 17
대표 김성준 주소 : 경기 용인 분당수지 U타워 등록번호 : 142-07-27414
통신판매업 신고 : 제2012-용인수지-0185호 출판업 신고 : 수지구청 제 123호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 : 김성준 sjkim70@stechstar.com
대표전화 : 010-4589-2193 [fax] 02-6280-1294 COPYRIGHT(C) stechstar.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