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 토픽 [정보통신기술]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 HDLC, SDLC
2024.12.06 01:59
[정보통신기술]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 HDLC, SDLC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 HDLC, SDLC
1. HDLC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는 비트(Bit) 위주의 프로토콜로, 각 프레임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비트 열을 삽입하여 전송한다.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및 멀티 포인트(Multi-Point), 루프(Loop) 등 다양한 데이터 링크 형태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며,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 오류 제어를 위해 Go-Back-N과 선택적 재전송(Selective Repeat) ARQ를 사용한다.
* 흐름 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사용한다.
* 전송 제어상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비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비트 투과성)
* 전송 효율과 신뢰성이 높다.
비트 투과성(Bit Transparency)은 프레임에 임의의 비트를 삽입하여 데이터의 자유로운 전송을 보장하는 기능으로, 프레임 내의 플래그(Flag) 비트와 다른 비트를 구분하여 기본적인 오류를 검출한다.
* 비트 투과성을 위해 플래그(Flag) 비트를 제외한 모든 비트는 '1'이 6개 이상 연속되지 않도록 한다. '1'이 연속적으로 5개가 입력되면 그 다음 6번째에는 '0'을 강제로 추가하여 송신한다.
* 프레임 내에 '1'이 연속해서 6개가 입력되면 플래그(Flag), 7개 이상 연속해서 입력되면 오류 프레임으로 인식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플래그(Flag)의 역할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
* 동기 유지(통화로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 비트 투과성을 이용한 기본적인 오류 검출
프레임 구조
* 플래그(Flag)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고유한 비트 패턴(01111110)
* 주소부(Address Field) : 송/수신국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하는 방송용(Broadcast)은 '11111111', 시스템에 의해 임의로 수신국이 지정되는 시험용(No Station)은 '00000000'을 사용
* 제어부(Control Field) :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 제어부의 첫 번째, 두 번째 비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프레임의 종류를 구별한다.
I 프레임
|
정보 프레임(Information Frame). 제어부가 '0'으로 시작하는 프레임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S 프레임
|
감독 프레임(Supervisor Frame). 제어부가 '10'으로 시작하는 프레임으로,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
U 프레임
|
비번호 프레임(Unnumbered Frame). 제어부가 '11'로 시작하는 프레임으로, 링크의 동작 모드 설정과 관리를 한다.
|
* 정보부(Information Field) : 실제 정보 메시지가 들어 있는 부분으로, 송/수신 측 간의 협의에 따라 길이와 구성이 정해진다.
* FCS(Frame Check Sequence Field,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 : 프레임 내용에 대한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CRC 코드가 사용된다.
HDLC의 국(Station)
* 주국 : 종속된 단말기를 제어하거나 정보를 제공해 주는 컴퓨터로, 주 스테이션, 1차국, 서버라고도 한다.
* 종국 : 주국으로부터 제어를 받고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로, 부 스테이션, 2차국, 클라이언트라고도 한다.
* 혼합국 : 상대국 컴퓨터의 제어를 받기도 하고 제어를 하기도 하는 동등한 위상을 가진 컴퓨터로, 복합국이라고도 한다.
CRC(순환 중복 검사)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다항식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집단 오류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율이 높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류 검출 기법이다.
데이터 전송 모드
데이터 전송 모드는 제어부에서 관리되는 U 프레임에 의해 설정되며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표준(정규) 응답 모드(NRM, Normal Response Mode)
|
* 반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또는 멀티 포인트(Multi-Point)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 종국은 주국의 허가(Poll)가 있을 때에만 송신 |
비동기 응답 모드(ARM, Asynchronous Response Mode)
|
* 전이중 통신을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 종국은 주국의 허가(Poll) 없이도 송신이 가능하지만, 링크 설정이나 오류 복구 등의 제어 기능은 주국만 가능 |
비동기 균형 (평형) 모드(ABM, Asynchronous Balanced Mode)
|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균형 링크에서 사용
* 혼합국끼리 허가 없이 언제나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 |
불균형 링크와 균형 링크
불균형 링크는 주국과 종국 사이의 통신을 말하며, 균형 링크는 모든 국의 동등한 혼합국끼리의 통신을 말한다.
2. SDLC
SDLC(Synchronous Data Link Control)는 IBM 사에서 개발한 비트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 BSC의 많은 제한점을 보완했으며, HDLC의 기초가 되었다.
* HDLC와 동일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전송을 모두 지원한다.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멀티 포인트(Multi-Point), 루프(Loop) 방식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 오류 제어를 위해 Go-Back-N ARQ를 사용한다.
광고 클릭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모두 웹사이트 서버의 유지 및 관리, 그리고 기술 콘텐츠 향상을 위해 쓰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