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

입력
국내 연구팀이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2037년까지 전망한 반도체 기술 수준을 월등히 넘어서는 극소형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2037년까지 전망한 반도체 기술 수준을 월등히 넘어서는 극소형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2037년까지 전망한 반도체 기술 수준을 월등히 넘어서는 극소형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 다양한 저전력 고성능 전자기기 개발의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문호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연구팀이 원자 크기 수준으로 작은 너비의 1차원 금속 물질을 2차원 반도체 기술에 적용해 새로운 구조의 극소형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고 3일 밝혔다. 1차원 금속은 전자가 1차원 공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전도 경로를 가진 금속으로 전자의 운동이 1차원적인 공간에서 제한된다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최근 반도체 소자 소형화가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면서 2차원 반도체를 활용한 연구가 전 세계적인 기초·응용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2차원 반도체는 극도로 얇은 두께에서도 우수한 반도체 특성을 나타낸다.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핵심 소재로 손꼽히는 이유다.

다만 기술적으로 2차원 반도체 내 전자의 이동을 수 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크기까지 줄일 수 있는 공정 기술은 없어 이를 집적회로로 확장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지금까지 반도체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했지만 한계가 있었다. 집적도는 반도체 칩 안에 소자가 얼마나 조밀하게 들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다. 집적도가 높을수록 공정 단가가 낮아지고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크기는 점점 작아져야 한다.

실리콘칩 표면에 원하는 패턴을 빛으로 그리는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면 빛의 파장 크기로 미세하게 그릴 수는 있지만 원자 크기 정도의 극한으로 줄이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웠다. 차세대 반도체 공정에서 리소그래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했다.

IBS 연구팀은 이러한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1차원 금속을 전극으로 활용했다. 2차원 반도체인 '이황화몰리브덴'은 거울 쌍정 경계 폭이 0.4nm에 불과한 1차원 금속이라는 사실에 주목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으로 활용했다. 거울 쌍정 경계란 서로 거울 대칭인 두 결정의 집합체가 만나 형성되는 결정립계를 가리킨다.

덕분에 연구팀은 리소그래피 공정 없이 게이트 길이가 원자 크기 수준인 1차원 금속 기반의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 극소형 반도체 소자가 기반이 되는 논리 회로 구현에도 성공했다.

IEEE가 보고하는 국제 디바이스 시스템(IRDS) 로드맵에서는 집적도 측면에서 2037년까지 0.5nm 수준의 반도체 기술을 전망했다. 12nm 이하의 트랜지스터 게이트 길이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1차원 거울 쌍정 경계로 인해 폭이 약 3.9nm인 것을 입증해 실질적인 게이트 길이가 수 nm 수준임을 확인했다. 이는 산업 기술적 전망치를 월등히 넘어선 결과이며 반도체 소자의 초미세화를 앞당길 핵심 기술이 될 수 있다.

연구를 이끈 조 단장은 “연구팀이 구현한 1차원 금속 기반 반도체 구현 기술은 새로운 물질 공정으로서 초미세 반도체 공정에 적용돼 향후 다양한 저전력 고성능 전자기기 개발의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언급했다.

 

 

 

본 웹사이트는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고 클릭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은 모두 웹사이트 서버의 유지 및 관리, 그리고 기술 콘텐츠 향상을 위해 쓰여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0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라고 믿었던 모든 것, '착각'일 수도 file 졸리운_곰 2024.07.13 111
839 [물리] "우주 비밀, 모르는 게 더 많다"...힉스 이후 차세대가속기 개발 앞둔 CERN file 졸리운_곰 2024.07.13 118
838 [천체물리 - 우주(과학)] 중력이 만든 빛의 예술…‘우주의 보석 반지’ 퀘이사 포착 [우주를 보다] file 졸리운_곰 2024.07.12 108
837 [물리] 얼음과 액체 사이 경계, 최초로 직접 관측 file 졸리운_곰 2024.07.10 85
836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file 졸리운_곰 2024.07.07 89
» [전기/전자] 2037년에서야 가능한줄 알았는데…국내 연구진, 초미세 반도체 구현 성공 file 졸리운_곰 2024.07.04 138
834 [정보 (및 수학)]당신이 '='의 의미를 모두 안다고 생각한다면 '착각' file 졸리운_곰 2024.06.30 102
833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혈압 높으면 외로움 등 '사회적 고통' 덜 느낀다 file 졸리운_곰 2024.06.29 148
832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인상이 완벽한 사람을 경계해야 하는 이유 file 졸리운_곰 2024.06.23 116
831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file 졸리운_곰 2024.06.19 153
830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장점' 발견하면 나도 행복해진다 file 졸리운_곰 2024.06.08 105
829 [천체물리 - 우주(과학)] 제임스 웹, 가장 오래된 은하 발견했다 [우주로 간다] file 졸리운_곰 2024.06.04 85
828 [정보 (및 수학)] [주말N수학] 설레는 휴가철…효율적인 짐 싸기 위한 '배낭 문제' file 졸리운_곰 2024.06.01 121
827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각'의 악순환 file 졸리운_곰 2024.06.01 103
826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 잘될거야' 낙관, 오히려 해롭다 file 졸리운_곰 2024.05.26 212
825 [천체물리 - 우주(과학)] 한국에도 오로라 내린 '태양폭풍' 비밀 400년만에 풀릴까 file 졸리운_곰 2024.05.24 147
824 [정보 (및 수학)] [주말N수학] 찰떡궁합 음식 찾기 '푸드 페어링' file 졸리운_곰 2024.05.18 113
823 [사회과학] "사이버범죄·중독?…인터넷 사용이 삶의 행복도 높인다" file 졸리운_곰 2024.05.13 116
822 [기계] [표지로 읽는 과학] 화석연료 없는 미래의 정유소 file 졸리운_곰 2024.05.11 158
821 [사회과학]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죽음의 공포가 낯선 것 배척하게 만든다 file 졸리운_곰 2024.05.11 113
대표 김성준 주소 : 경기 용인 분당수지 U타워 등록번호 : 142-07-27414
통신판매업 신고 : 제2012-용인수지-0185호 출판업 신고 : 수지구청 제 123호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 : 김성준 sjkim70@stechstar.com
대표전화 : 010-4589-2193 [fax] 02-6280-1294 COPYRIGHT(C) stechstar.com ALL RIGHTS RESERVED